생활정보2 [생활정보] 플라스틱 식기류 소독 방법(젖병 포함)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은 환경호르몬과 변형으로 인해 소독이 어려운데,재질별로 소독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았다.✅ 플라스틱 재질별 소독 가능 여부 재질 열탕 소독UV 소독비고폴리프로필렌PP✅ 가능 (최대 120~130℃)✅ 가능젖병, 이유식기 등 가장 흔한 재질폴리페닐설폰PPSU✅ 가능 (최대 180℃)✅ 가능고급 젖병에 사용, 내열성 우수폴리카보네이트PC❌ 비권장 (내열성 낮음)❌ 노화·환경호르몬 우려BPA 검출 우려로 요즘은 거의 사용 안 함트라이탄Tritan⭕ 가능 (최대 100~110℃ 정도)⭕ 가능(다만 UV는 자주 ×)BPA-free지만 UV에 자주 노출되면 변색될 수 있음폴리에틸렌PE❌ 불가❌ 불가변형 쉬움, 식기보다는 뚜껑류에 사용됨폴리메틸펜텐PMP✅ 가능 (최대 170℃)✅ 가능내열성 강하고 가.. 2025. 4. 6. [생활정보] 주방 세제 안전하게 헹구기 설거지를 하다보면 매번 세제가 남아있지 않을까 걱정이 된다,얼마나 헹궈야 세제가 충분히 제거될 지 궁금해서 확인해보았다. 우선 일반적인 안전한 행굼 팁에 대해 정리해보았다. ✅ 안전한 행굼 팁 (일반 주방세제 기준) 🔹 최소 3회 이상 흐르는 물에 헹구기1~2회로는 세제 잔여물이 남을 수 있어.3회 이상 헹궐 경우, 잔류 세제 성분이 대부분 제거됨.🔹 각 행굼마다 충분한 시간 확보 (10~15초 이상)단순히 물에 담그는 것보다, 흐르는 물로 충분히 흔들어가며 헹궈주는 게 중요.🔹 미지근한 물 사용 (30~40도)미지근한 물이 세제 제거에 더 효과적🔹 스펀지나 수세미에도 세제가 남기 때문에,세제를 직접 닿게 하지 않는 거품형 세제, 친환경 무첨가 세제 사용 고려좀 더 객관적인 근거를 확인해보기 위해.. 2025. 4. 5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