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육아

[육아] 아기 트름, 꼭 시켜야 할까?

by oh-jo 2025. 4. 21.
728x90
반응형

✅ 1. 트름이 필요한 이유

1. 위에 공기가 차서 불편해요

  • 아기는 젖병이나 젖을 빨 때 공기를 함께 삼킵니다.
  • 이 공기가 위 속에 머물면 더부룩함, 복통,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어요.

2. 역류 및 토하는 것을 줄이기 위해

  • 트름을 하지 않으면 삼킨 공기가 위를 압박해 토하거나 역류할 가능성이 커집니다.

3. 수면의 질이 나빠져요

  • 배 속에 가스가 차면 불편해서 깊은 잠을 자지 못하거나 자주 깨는 원인이 될 수 있어요.

4. 산통(Colic) 완화에 도움

  • 생후 2~3개월까지 자주 우는 산통 아기들은 종종 가스로 인한 복부 불편감을 겪는데, 트름은 그 불편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.

🍼 아기 트름 시키는 방법 (자세한 자세별 정리)

✋ 기본 원칙

  • 모유 수유나 분유 수유 후 즉시
  • 한 쪽 수유가 끝난 뒤에도 트름을 시키는 것이 좋아요.
  • 5~10분간 시도해보고 트름이 안 나오면 억지로 오래 시도하지 않아도 괜찮아요.

📌 트름 자세 3가지

1. 어깨에 올리는 방법 (가장 흔함)

  • 아기를 세워 어깨에 안고, 아기의 턱이 어깨를 살짝 넘도록 받쳐줍니다.
  • 손으로 아기의 등을 부드럽게 톡톡 두드리거나 원을 그리듯 문지릅니다.
  • 수건이나 천 기저귀를 어깨에 깔아 토사물에 대비하세요.

2. 무릎에 앉히는 방법 (목 가누기 가능한 아기에게)

  • 아기를 앉은 자세로 무릎에 앉혀 등을 살짝 앞으로 숙이게 합니다.
  • 한 손으로 아기의 가슴과 턱을 받쳐 고정하고, 다른 손으로 등을 두드리거나 문지릅니다.
  • 척추를 세우고 목을 너무 꺾지 않도록 주의하세요.

3. 배에 엎드리게 눕히는 방법

  • 아기의 배를 엄마의 허벅지나 팔에 엎드리게 합니다.
  • 중력에 의해 공기가 위에서 쉽게 빠져나갈 수 있어요.
  • 등을 부드럽게 톡톡 두드려줍니다.
 
⚠️ 3번 자세 주의점
 수유 직후에는 피하는 게 좋아요위에 젖이나 분유가 찬 상태에서 배를 눌리면 역류하거나 토할 가능성이 높아져요.트름 전에 바로 이 자세를 사용하는 건 권장되지 않아요.배에 압력이 너무 강하지 않도록엎드린 상태에서 아기의 배가 너무 눌리면 불편하거나 복부 통증이 생길 수 있어요.허벅지나 팔에 살짝 얹는 정도로만 해야 하고, 짧은 시간만 유지하는 게 좋아요.목을 가눌 수 있는지 체크생후 1~2개월 미만의 경우 머리를 잘 들지 못하므로 기도 막힘 위험도 있을 수 있어요.목을 잘 가눌 수 있는 생후 2~3개월 이후에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해요.

✅ 언제 쓰면 좋은 자세인가?
수유와 트름을 마친 후, 아기가 배에 가스가 찬 느낌이 있거나 속이 불편해 보일 때짧게 1~2분 정도, 엄마의 팔이나 허벅지 위에 편안히 눕혀서 등을 가볍게 문지르듯 두드릴 때
배에 엎드리게 눕히는 방법은 “트름 유도용”보다는 “가스 배출 보조용”으로 적절히 사용해야 하며,수유 직후나 역류 이력이 있는 아기에게는 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

⏱️ 트름 시기 & 주의사항

🕰️ 언제까지 트름을 시켜야 하나요?

  • 보통 생후 4~6개월까지는 트름을 시켜주는 것이 좋아요.
  • 그 이후엔 아기가 자세를 스스로 바꾸면서 공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됩니다.

⚠️ 이런 경우 조심하세요

  • 아기가 너무 졸리거나 울고 있다면, 트름보다 안정과 진정이 우선입니다.
  • 트름 도중 사레가 들리지 않게, 기도 방향이 막히지 않도록 머리 방향과 고정에 주의해야 합니다.
  • 트림 시도 후 자주 우유를 토하거나 기침을 자주 한다면 소아과 상담이 필요합니다.

📝 마무리 TIP

  • 아기 트름은 위 건강과 소화 안정에 매우 중요한 습관입니다.
  • 너무 강하게 두드리거나 오래 시도하지 마세요. 부드럽고 짧은 시간에 충분한 자극이 더 효과적입니다.
  • 수유 중간중간 쉬어가며 트름을 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
728x90
반응형

댓글